지은이 :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 출판사 : 홍성사 | 발행일 : 2013.03.25 | 페이지수 : 224
책소개
1. 머리가 ‘확’ 열리고 가슴이 ‘뻥’ 뚫리는 기독 팟캐스트
신학 교수들이 한국 교회의 뇌관과도 같은 주제들에 대해 입을 열었다. 평신도 신학 교육을 기치로 활발한 사회 참여를 강조하는 교육 기관인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에서 2012년 5월부터 시작한 팟캐스트 ‘에고에이미’가 그것이다. 2013년 3월 현재 ‘그리스도인의 소유관’, ‘한국 교회와 설교’, ‘정치하는 그리스도인’, ‘목회자와 평신도’, ‘새벽기도’ 등 총 11회가 아이튠즈 팟캐스트와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다.
《느헤미야 팟캐스트 1》은 2012년부터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는 ‘힐링’ 현상과 한국 교회의 뜨거운 감자인 ‘세습’ 현상을 다루었다. 고상환, 권연경, 김근주, 한병선 등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운영위원과 실행위원 등으로 섬기는 아홉 명은 이 시대 멘토들과 힐링 현상에 하이킥을 날리고, 꼰대로 불릴까 우려하면서도 청춘들에게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다. 교회를 자기 것인 양 아들에게 물려주는 목사들에 대해서도 1997년 충현교회 사건부터 하나하나 따져 가며 세습 현상과 세습 옹호 논리를 비판한다.
2. 교회는 청춘에게 무엇을 주고 있나?
힐링 현상이 2012년부터 한국 사회를 휩쓸고 있다. 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판매부수 200만 부를 넘겼고, 혜민 스님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역시 베스트셀러에 올라 있다. 그러나 〈힐링캠프〉가 인기를 얻고, 멘토들의 조언에 청춘들이 몰리는 현상 이면에는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는 암묵적인 사회적 압력이 도사리고 있다. ‘짱돌을 들어라’라고 했던 《88만원 세대》가 지나가고, ‘청춘은 아프다’는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대세가 된 현실 이면에 사회구조적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병욱 목사처럼 카리스마 있는 청년 목회자들이 더 큰 목회를 위해 청년들을 이용하는 현실에서 왜 청년들은 카리스마 있는 목회자를 좇고, 또 ‘말랑말랑한’ 조언에 위로를 얻는지를 분석하고 청년 목회자들의 분발을 촉구하고 있다. 대다수 청년이 서울대와 삼성을 바라보는 시대에 저자들은 한국 사회 구석구석에 들어가서 사역자로 일할 청년들을 키우자고 제안한다. 해외 선교사 파송도 중요하지만, 아무도 가려 하지 않는 우리 사회의 음지로 나아가도록 청년들을 독려하고 훈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성경은 경쟁과 경쟁을 유발하는 논리를 거부하고 있으며, 오늘날 필요한 영성은 결국 자족을 이야기하는 전도서의 영성이기 때문이다.
3. 아버지의 뜨거운 욕망, 교회 세습
교회 세습이라는 희대의 현상 앞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것이다’라는 명제는 무력하다. 97년 충현교회를 시작으로 수면에 드러난 교회 세습은 현재진행형이다. 오랫동안 교회 세습을 감시하고 비판해 온 교회개혁실천연대의 남오성 사무국장이 대표적인 세습 사례들을 요약해서 들려주고, 저자들은 세습을 자행하는 목사와 그에 편승하는 성도들의 후안무치에 대해 비판의 수위를 높여 나간다.
구약의 제사장과 왕의 사례를 들어 세습을 정당화하려는, 대꾸할 가치조차 없는 논리를 하나하나 짚어 가며 반박하는 저자들은 교회가 세상의 비판을 받고 있는 현상을 개탄한다. 더 많이 기도하고 더 많이 헌금한 사람이 교회에서도 목소리가 크고, 목회자 선임이 재벌 2세의 경영권 세습처럼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세습이 결국 신앙의 논리가 아닌, 아들에게 좋은 것을 물려주고자 하는 아버지의 그릇된 욕망이 교회를 관통한 결과임을 폭로한다. 그럴듯한 종교적 모습으로 욕망을 포장하는 목회자들의 위선이 ‘세습 첫 번째 이야기’와 ‘세습 두 번째 이야기’에서 다루어진다.
목차
우리는 왜 팟캐스트의 돛을 올렸나 6
―
청춘, 멘토, 힐링 첫 번째 이야기 10
청춘, 멘토, 힐링 두 번째 이야기 52
세습 첫 번째 이야기 92
세습 두 번째 이야기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