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성희 외 8인 | 출판사 : 동연 | 발행일 : 2024.04.18. | 페이지수 : 348

책소개

이 책의 엮은이 한국여성신학회는 한국의 여러 여성문제에 대한 학술적으로 접근하려고 한다. 그를 위해 2년마다 한국 사회와 여성의 현안을 찾아 여러 학자가 글을 쓰고 그것을 모아 책을 펴낸다. 이제 15집, 30년째이다.
이번에는 ‘연대’로 설정하였다. 전 세계적으로도 그렇지만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병폐의 하나는 대립과 반목을 넘어 적대적인 상대편 죽이기이다. 정치, 종교, 사회 문화 제반으로 퍼진 이런 현상은 여성계에까지 미치고 있다.
여성의 가장 큰 특질은 ‘죽음’을 ‘살림’으로 바꾸는 힘이다. 그리하여 이번 주제를 “연대하는 여성”으로 설정하였다. 정치적 입장이나 세대 간의 격차를 넘고, 남성과 여성의 한계도 넘어서려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특히 기독교적 신앙의 바탕에서 대립과 반목, 분열과 차별을 넘어 공존과 평화, 화해와 통합을 이루고자 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말

1부_ 성서: 꽃잎처럼 흩날리며 삶을 짓다

김순영 | 호세아 1-3장 드라마의 젠더 역전과 하나님 사랑
I. 들어가는 말: 불균형을 넘어 협상과 공존으로
II. 호세아서 1-3장의 드라마적 구성과 개요
III. 호세아-고멜의 결혼과 해석의 유동성
IV. 남편의 명예와 아내의 수치에 대한 비판적 고찰
V. 나가는 말: 평등한 동반자 관계의 확장을 위해

박유미 | 딸을 위한 어머니는 없었다
I. 보수적인 교회에서 여성주의로 성경 읽기가 가능할까?
II. 곤란에 빠진 딸과 어머니의 부재 현상
III. 아들과 어머니의 관계
IV. 딸을 위한 어머니 부재 이유
V. 여성을 위한 연대를 꿈꾸며

김성희 | 생태여성 선지자, 마리아가 부르는 생명의 노래(눅 1:46-55)
I. 생명을 사랑하는 여인들의 반란
II. 생태여성의 눈으로 성서 읽기
III. 생태여성운동의 선두 주자, 마리아의 생명 노래(눅 1:46-55)
IV. 나가는 말: 마리아의 노래에 나타난 생태여성신학적 함의

2부_ 담론: 내부에서 낯설게 말하기

백소영 | ‘기독 여성주의’는 교회 담론이 될 가능성이 있는가?
I.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기독교사회윤리학 전공자가 묻다, “어쩌다가 교회 밖에서?”
II. 근현대 한국 사회의 역사적 배경과 한국교회 담론 실종의 계보학
III. 개신교 가부장제의 여성 담론, 봉건화와 낭만화의 함정
IV. 교회 담론으로서 ‘기독 여성주의’, 하나의 가능성
V. 글을 닫으며, 새로움을 시작하며

최순양 | 낙인찍힌 죄에 대한 해체 –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죄론
I. 들어가는 말
II. 서남동 선생이 해석한 ‘죄’
III. 기득권 중심의 언어 해체: 가야트리 스피박을 통해서
IV. 주디스 버틀러를 통한 언어 해체
V. 지식인 중심성에 대한 해체: 보부아르 등의 페미니즘 이론 비판
VI. 우리의 인식을 넘어서: 언어적 판단을 넘어 연결된 존재임을 자각하기

구미정 | 종전 선언과 반공 기독교 성찰 – 황석영의 『손님』을 중심으로
I. 들어가는 말
II. ‘뒤틀린 해방’ 그 너머를 향한 발걸음
III. 기독교와 반공주의의 밀월관계
IV. 두려움을 넘어 타자를 끌어안기
V. 나가는 말

3부_ 젠더: 소외와 딜레마 속에서 피어난 치유와 돌봄 모성

강호숙 | 보수 기독교 내 젠더 문제를 푸는 코드, 성경적 페미니즘 – 젠더 정체성, 성폭력, 이혼을 중심으로
I. 들어가는 말
II. 가부장적인 보수 기독교 내 젠더 인식의 수준과 젠더 문제
III. 성경적 페미니즘(biblical feminism)과 성경 속 젠더
IV. 성경적 페미니즘 성경 해석과 가부장적 성경 해석과 비교 및 평가: ‘슬로브핫의 딸들’(수 27:1-11), ‘레위인의 첩 사건’(삿 19장-21장), ‘사마리아 여자’(요 4:3-30)
V. 젠더 문제에 대한 현실적 적용: 젠더 정체성, 성폭력, 결혼과 이혼
VI. 나가는 말: 성경적 페미니즘의 필요성과 과제

김혜령 | 여성주의 기독교윤리학의 재생산권 변증 – 인공임신중절의 전면적 허용을 중심으로
I. 들어가는 말
II. 낙태죄 범죄화에 대한 여성계의 핵심 비판
III. 전면적 임신 중지 허용에 대한 여성주의적 기독교윤리학의 변증
IV. 나가는 말

이주아 | 질문하기: 기독교의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와 생물학적 모성 담론은 유일한 하나님의 질서이자 인간의 소명인가?
I. 은혜가 가득 차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공동체 속에 은밀하게 존재하는 것들
II. 죄인으로 가득 차게 될 교회? 비혼과 비출산의 시대가 도래했다 3
III. 그렇다면 우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