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신학연구과정 과목을 청강할 수 있습니다. 전 과목 온라인 청강이 가능하며 현장 참석 및 온라인 참석 모두 가능합니다.
모집 일시
2025. 2. 3.(월) ~ 2025. 2. 14. (금)까지
지원 자격
학사학위 취득자 혹은 취득예정자, 이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모집 인원
과목당 5명 이내 (선착순 마감)
수강 기간
3월 4일 주간부터 약 15주 (리딩위크 포함) / 학사일정참고 : http://www.nics.or.kr/schedule
강의 방식
현장 참석 및 온라인 참석 가능
등록금
1. 한 과목 등록 시 45만 원, 두 과목 등록 시 70만 원, 3과목 이상 등록 시 과목당 +25만원
(1과목-45만 원, 2과목-70만 원, 3과목-95만 원, 4과목-120만 원)
2. 정기 후원약정 필수
(기독연구원 느헤미야는 모든 재학생이 후원자로 가입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후원금은 다른 분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쓰이게 되며, 반드시 월 1만원 이상 CMS를 통한 후원을 해야 합니다)
계좌 | 국민 012501-04-251307 (기독연구원느헤미야) 예금주 ‘성명 청강’으로 입금 (예: 홍길동청강)
지원 방법
지원서+ 후원약정
1. 지원 링크를 통해 지원서 작성 및 신청 (지원 링크 )
https://forms.gle/1aVjEXAXvDdXTk289
2. 후원약정은 www.nics.or.kr/funding(홈페이지 후원안내) 에서 작성- 후원 동기란에 ‘각 과정 지원자 ‘선택, 합격 발표 이후 후원금 출금
시간표
모바일은 테이블을 옆으로 밀어서 과목들을 확인해주세요.
요일 | 수업시간 | |
화요일 | 1교시 a.m. 9:30~11:50 |
초급 히브리어 (김지훈) |
2교시 p.m. 1:00~3:20 |
성서해석학 (권지성) |
|
3교시 p.m. 3:40~6:00 |
교회사 고전 강독 (배덕만) |
|
수요일 | 1교시 a.m. 9:30~11:50 |
예레미야서 (김근주) |
2교시 p.m. 1:00~3:20 |
기독교비폭력과 평화주의 (김성한) |
|
목요일 | 2교시 p.m. 1:00~3:20 |
조직신학 3 (김형원) |
3교시 p.m. 3:40~6:00 |
요한계시록 (김성희) |
과목 소개
[초급 히브리어 – 김지훈]
초급 히브리어 수업에서는 성서 히브리어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성서 히브리어의 소리 체계와 기초 문법을 공부합니다. 학생들은 히브리어의 글자와 소리를 익히고, 히브리어 단어의 어형 변화를 배우며, 히브리어의 문장 구조를 공부하게 될 것입니다.
알파벳(자음), 모음, 절, 쉐바, 경감점(Dagesh Forte)
명사: 기본형들, 인칭대명사와 정관사
동사: 칼(Qal) 완료형, 동사가 있는 문장
명사: 모음의 변화, 전치사와 접속사 바브
형용사, 동사: 칼(Qal) 미완료형
명사의 연계: 단수, 명사의 연계: 복수
칼 완료형과 미완료형: 약자음 어근, 완료형과 미완료형: 페 눈 / 라메드 헤
단수 명사에 붙는 소유 대명사 접미어, 복수 명사에 붙는 소유 대명사 접미어, 전치사에 붙는 대명사 접미어
지시대명사와 관계사, 칼 미완료형: 페 요드 / 페 알레프
동사: 칼 부정사
존재와 소유를 나타내기, 동사: 칼 의지형 (명령, 청유, 희구)
동사: 칼 능동 분사 & 칼 수동 분사, 대명사 접미어 특이사항
동사: 바브 연속법,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과 의문문, 피엘: 강자음 어근
히필: 강자음 어근, 니팔: 강자음 어근, 동사: 히트파엘
[성서해석학 – 권지성]
본 수업은 기초 원어공부와 주해 (Exegesis)를 바탕으로 신구약 성서를 해석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 해석학 전반을 이해하는 과목입니다.
신실한 비평을 위하여
아담과 타락
출애굽: 사실인가 허구인가, 아니면 둘 다인가?
바빌로니아 포로 이전에는 언약이 없었다?
예언 문제
위작과 정경
역사적 예수
사도행전의 바울과 서신서의 바울
신실한 비평과 비평적 신앙
성경이 말할 때 하나님이 말씀하신다: 성경 무오성의 고전전 교리_알버트 몰러
어떻게 정의되든지, 무오성은 성경이 행하는 바를 설명하지 않는다_피터 엔즈
미국 바깥에서는 무오성이 불필요하다_마이클 버드
아우구스티누스적 무오성: 성경 담화의 유기적 통일성 속에서 문학적 의미 · 축어적 진리 · 문해에 정통한 해석_케빈 밴후저
무오성 개정하기: 선교적 복수성에 대한 증거로서의 성경_존 프랭키
[교회사 고전 강독 – 배덕만]
본 과목은 교회사에 큰 영향을 끼친 문헌을 직접 세밀하게 읽으면서, 이 문헌의 신학적 역사적 가치와 영향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표를 둡니다. 이번 학기엔 중세교회의 우주관, 구원론, 교회론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르네상스의 문을 연 것으로 평가되는 단테 알리기에르의 전체를 한 학기 동안 강독합니다. 이로써 저자 단테의 생애와 사상, 의 내용, 그것이 중세와 이후 교회사에 끼친 영향, 그것이 오늘날 지니는 의미 등을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강의 소개
단테는 누구인가? 1
단테는 누구인가? 2
지옥 1 _단테,『신곡』
지옥 2_단테,『신곡』
지옥 3_단테,『신곡』
지옥 4_단테,『신곡』
연옥 1_단테,『신곡』
연옥 2_단테,『신곡』
연옥 3_단테,『신곡』
천국 1_단테,『신곡』
천국 2_단테,『신곡』
천국 3_단테,『신곡』
천국 4_단테,『신곡』
[예레미야서 – 김근주]
이 과목은 예레미야서를 한 학기 동안 다룹니다. 예레미야서의 특징과 짜임새를 포함한 서론을 검토한 후에, 예레미야서 전체에서 중요한 본문을 세부적으로 살펴봅니다.
예레미야 개론
예레미야의 소명(1장)
여호와께로 돌아오라(2:1-4:4)
성전설교(7장)
예레미야의 고백 1
예레미야의 고백 2
예레미야의 고백 3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28장)
예레미야의 토지 무르기(32장)
새 언약(30-33장)
예루살렘 멸망 1
예루살렘 멸망 2
예레미야의 열방 말씀(46-51장)
보충
[기독교 비폭력과 평화주의 – 김성한] – 대면수업만 진행
이 과목은 역사적 평화교회(Historic Peace Church) 전통에 속한 아나뱁티스트-메노나이트 관점을 고려하며 평화와 정의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입장과 성경적 토대를 살펴봅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교회가 처한 상황 가운데 교회의 신앙과 실천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금 이곳에서 요청되는 기독교 비폭력의 실천과 평화신학 그리고 하나님의 선교로서의 화해를 모색합니다.
오리엔테이션 – 납작한 복음을 넘어서, 평화의 복음
평화신학 구상 – 종말에 대한 소망과 예수 중심의 해석학
구약성서: 정의와 평화 – 온 세상을 위한 구약 윤리
신약성서: 정의와 평화 – 신약의 윤리적 비전과 평화
초기 교회와 기독교 제국(Christendom) – 초기 교회와 인내의 발효
기독교는 폭력적이어야 하는가? – 복음전도와 폭력의 역사
종교개혁과 평화교회의 질문 – 국가, 폭력, 전쟁에 대한 입장들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 – 메노나이트 평화신학(들)의 파노라마
기독교 비폭력의 증언 – 평화의 복음을 위한 주요 인물과 사건들
세계 교회와 평화의 질문 – 가톨릭, 에큐메니컬, 이반젤리컬 문서를 중심으로
한국 교회와 평화의 질문 – 반공주의와 민족주의와 성장한 교회
복음과 평화 – 하나님의 선교로서의 화해
예배와 평화 – 성품을 빚는 예배와 평화의 문화를 만드는 교회
선교와 평화 – 배제와 혐오의 시대에 환대와 화해의 공동체
[조직신학 3 – 김형원]
교회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또한 종말에 일어날 일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교회와 정의의 특성
교회의 속성과 표지
공동체로서의 교회
성찬
세례
교회의 구조와 조직
교회의 사명
중간 상태
부활
재림
최후의 심판
지옥
새 하늘과 새 땅
종말과 관련된 이슈들
[요한계시록 – 김성희]
성경의 가장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은 문학적 독특성과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정경에 들어올 때부터 많은 논란을 가져왔고, 지금도 요한계시록 연구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본 과목은 요한계시록을 묵시문학의 한 장르로 이해하면서, 요한계시록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 문학적 구조, 수많은 상징과 알레고리들로 점철되어 있는 본문을 여러 학자의 주석과 논문을 참조하면서 연구하고, 오늘날 올바른 요한계시록의 해석과 적용을 집단지성으로 고찰하도록 합니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기본이해: 저자, 문학적 장르, 본문의 구조 역사적 배경 등
부활 승천하신 예수님 (1:1-20)
일곱 교회에 대한 메시지 (2-3장)
하늘의 성전환상 (4-5장)
인 심판 (6장, 8:1-5)
인치심을 받은 십사만 사천 (7장)
나팔심판 (8-11장)
영적 전투의 현장, 짐승, 최후의 심판 (12-14장)
대접심판 (15-16장)
바빌론의 심판 (17:1-19:10)
두 짐승의 심판(19:11-21)과 용의 심판(20:1-15)
최후의 구원(21:1-8; 21:9-22:5)
에필로그 (22:6-21)
요한계시록의 종말론과 교회론
학업 방식 및 커리큘럼
본 홈페이지의 ‘과정 소개’ 메뉴의 ‘신학연구과정’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