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 소개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아갈 때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이슈들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찾기 위해서는 좀 더 집중적이고 깊이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를 위해 연구하고 토론하는 것이 본 과정의 목적입니다. 이 시대의 흐름을 맹목적으로 따라가기를 거부하는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함께 모여 책을 읽고 토론하고 생각을 정리하면서 우리를 둘러싼 이슈들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해보려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이슈의 종류가 많은 만큼 생각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할지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조급하지 않게, 또한 피상적이지 않고 깊이 있게,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하나씩 살피면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그 뜻에 우리의 삶을 맞추려는 시도를 해보려고 합니다.
과목 소개
25년 1학기에는 “용서”를 주제로 함께 생각하고 토론하고자 합니다.
일흔번씩 일곱 번 용서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말은 쉽지 실제로 하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나에게 해를 가한 사람을 아무런 대가 없이 그냥 용서하라는 것은 내 안에 있는 ‘정의 관념’이 용납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하면 그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또 다른 해를 끼칠 문을 열어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일흔번씩 일곱 번 용서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말은 쉽지 실제로 하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나에게 해를 가한 사람을 아무런 대가 없이 그냥 용서하라는 것은 내 안에 있는 ‘정의 관념’이 용납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하면 그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또 다른 해를 끼칠 문을 열어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우슈비츠에서, 세르비아에서, 캄보디아에서, 그리고 광주에서 학살을 감행한 자들을 용서해야 할까요? 어떻게 용서할 수 있을까요? 그들을 용서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있어야 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무조건 용서를 선언해야 할까요? ‘용서’는 개인의 일상에서도 매우 흔한 갈등과 고민의 주제일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논쟁과 갈등을 유발하는, 해결하기 쉽지 않은 주제입니다. 그래서 오랜 세월 동안 종교인, 신학자, 정치인, 철학자, 사회학자, 법학자, 심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매달려서 씨름했던 것입니다.
이번 학기에 우리는 이렇게 난해한 주제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용서와 관련된 모든 이슈를 다 다룰 수 없을지 모르고, 속 시원한 결론을 내릴 수 없을지 몰라도, 그냥 막연하게 생각만 하고 있었던 중요한 주제의 일각이라도 탐색하면서 개인의 삶과 사회적 이슈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할지 작은 단서라도 찾아보려고 합니다.
강사
김형원 교수(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조직신학/윤리)
연구 주제 (새로운 주제가 추가될 수 있음)
(1) 연구 주제 예시 : 경제와 돈, 그리스도인과 정치, 정의와 공정, 평화, 생명 윤리(자살, 안락사, 낙태, 사형), 결혼/이혼/비혼, 인간의 정체성과 인공지능, 인간 복제와 하나님의 형상, 인권, 페미니즘, 성윤리, 하나님의 뜻, 소명과 비전, 죽음, 악과 고난, 생태 신학, 동물 신학, 용서, 노동과 직업, 먹거리(육식과 채식), 몸, 여행, 여가와 쉼, 보수와 진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관계, 소명, 고통과 하나님의 주권 등
(2) 2025년 연구 주제
1학기: 용서
2학기: 미정
모집 일시
2025년 2월 3일(월) ~ 2025년 2월 14일(일)까지 / 선착순 마감
지원 대상
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았더라도 신학적인 책을 읽고 토론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기본 소양을 갖춘 사람 누구나
모집 인원
00명 (정원 15명내에서 결원 보충)
전형
서류 심사 후 개별 통지 예정
수업 기간
(1) 격주 목요일 오후 8:00 – 10:00
(2) 3/6(개강일), 3/20, 4/3, 4/17, 5/1, 5/15, 5/29, 6/12
수업 방식
온라인 (ZOOM) 수업으로 진행되며 매 학기 다른 주제로 수업 예정합니다. 학기마다 하나의 주제에 대해 3-4권 분량의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공부하며, 수업 계획서에 제시된 필독서를 읽고 토론하게 됩니다.
등록금
20만 원
정기 후원 약정 필수(합격 발표 이후 후원금 출금)
* 기독연구원 느헤미야는 모든 재학생이 후원자로 가입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후원금은 다른 분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쓰이게 되며, 반드시 월 1만 원 이상 CMS를 통한 후원을 해야 합니다.
지원 방법
지원서 + 개인정보 동의서 + 후원 약정
1. 지원서와 개인정보동의서를 작성하여 이메일 nics@nics.or.kr로 송부 – 서류심사
2. 후원약정은 www.nics.or.kr/funding(홈페이지 후원안내) 에서 작성 – 후원동기란에 ‘각 과정 지원자 ‘선택, 합격 발표 이후 후원금 출금.
지원서
지원서 및 개인정보동의서(한글버전_hwp) 지원서 및 개인정보동의서(워드버전_word) – 지원서 파일이름을 ‘본인이름-과정명’으로 저장 후 발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