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월 10일 >
” 바울서신에 나타난 관대함 : 은혜와 휴머니즘의 차이는 무엇인가? “

강사 : 존 M. G. 바클레이 교수 (신약학, 더럼대학교)
사회 : 권연경 교수

바울은 인간의 관대함에 대한 심오한 신학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거룩한 은혜의 틀 안에 넣습니다. 그 형태와 중요성을 이해하려면 바울의 은혜를 이타주의에 대한 인본주의적 개념과 대조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 강의에서는 19세기 인본주의의 몇 가지 뿌리를 추적한 다음, 바울이 예루살렘을 위한 연보를 요청한 고린도후서 8-9장의 신학적 구조를 탐구할 것입니다.

 

< 2025년 4월 17일 >
“ 예수의 희망, 율법교사! :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눅 10:25-37)에 담긴 감정의 문화정치적 해석 “

강사 : 설재록 박사 (신약학, 연세대학교)
사회 : 김성희 교수

사라 아메드는 감정과 정동이 사회에서 작동하는 기능을 밝힘으로 차별의 문제를 조명합니다.

이 강의는 아메드의 관점에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예수가 감정과 정동을 이용하여 종족(유대인, 사마리아인, 갈릴리인)간 갈등을 해결하려 시도한 사건으로 설명하는 주장을 살펴봅니다.

 

< 2025년 5월 8일 >
“ 성서시대의 예루살렘 고고학과 정착역사에 대한 논평 “

강사 : 이스라엘 핀켈스타인 교수(구약학/고고학, 텔아비브대학교)
사회 : 권지성 교수
이 강의는 고대 근동 기록과 성경 본문을 참고하여 업데이트된 고고학 자료를 바탕으로 기원전 1350년경부터 100년경까지의 예루살렘 정착 역사를 다룰 것입니다.

< 2025년 5월 22일 >
“ 아가에서 듣는 종말론적 희망 : 포로기 이후 페르시아 시대를 배경으로 “

강사 : 이수연 박사(구약학, 이화여자대학교)
사회 : 김근주 교수

아가는 고대 근동의 흔한 사랑 노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겉으로는 연인 간의 사랑을 노래하는 듯하지만, 아가의 시어를 면밀히 분석하면 구약의 종말론적 사상과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강의에서는 아가의 시어를 분석하여, 이를 구약의 종말론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아가의 신학적 의미를 조명하고자 합니다.


일시
|2025년 4월 10일(목), 4월 17일(목), 5월 8일(목), 5월 22일(목)
저녁 7시 30분 ~ 9시 30분 (90분 강의, 30-50분 토론)
방식|온라인 플랫폼 줌(ZOOM – https://www.zoom.us) 특강 : 강의 전에 주소 링크 송부 예정, 일주일간 녹화 영상 다시 보기 제공
등록비| 강의 당 2만 원(기독연구원 느헤미야, 한국구약학연구소 후원자는 강의 당 1만 원) / 신규 정기 후원자도 본 강의 및 특강, 포럼, 세미나 등 다수의 강의 할인 수강
참가 신청| 신청 폼( https://forms.gle/zE48zxnJVQjeH9wNA )에 신청 후 입금

문의|nics@nics.or.kr, 02-323-0208